집장만을 하기위해 이것저것 알아보는 요즘..
흙수저이므로 대부분 은행돈으로 사야 하기에 주택담보대출을 최대로 받아야 하는데
얼마짜리 집을 살때 내돈이 얼마가 있어야 하고 대출한도는 최대 얼마까지 받을수 있는지를 모르겠다.
나는 생애첫주택구입이므로..
주택도시기금에 들어가 대략적으로 알아보기로.
여기서 나오는 한도는 참고만 하면 된다.
실제로 은행에 가서 서류들을 넣고 심사를 받으면 여기서 나오는 금액보다 훨씬 안나온다.
이유는 개인신용도문제도 있고, 많이 들어 봤지만 뭔지 정확히 모르겠는 DSR, DTI, LTV 뭐 이런것들때문..
그래도 여기서 한도를 산출해 보는 이유는..대략적인 이자율을 보기 위해서..
그리고나서 아무리 봐도 모르겠는 것들을 한번 알아보자.
DSR...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주택담보대출의 연간 원리금의 상환액과 기타 부채에 대해 연간 상환한 이자의 합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
그래도 모르겠다 뭔소린지.
DSR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간 소득
DTI =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 + 기타 대출 이자 상환액) / 연간 소득
그러니까 DSR은 연소득대비 부채비율, 현재 내가 가지고 있는 대출 포함 주담대로 받으려는 대출금액까지 다 포함 한 총대출액이 연간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는 것
검색창에 DSR계산기라고 치면 많이 나오니 거기서 한번 계산을 해본다.
예시로 소득금액이 3000인 사람이 현재 원금균등상환 4% 이자, 12개월로 천만원의 신용대출을 가지고 있는데
주택도시기금의 생애최초 디딤돌 대출을 이용해 주담대로 1억이 필요한 경우를 계산해 보면 DSR이 26.71%므로
현재 규제인 40%가 넘지 않는다. 기대출이 많다면, 또는 이자율이 더 높다면 40%가 넘을수도 있고 그런 경우 원하는 만큼의 대출이 나오지 않는다.
내가 주담대로 대출 받으려는 1억을 빼고 현재 있는 대출로만 계산을 하면 현재 DSR은 7.39%가 나오는데 이 말은 40%에서 7.39%를 뺀 32.61%만 가능하다는 말이다. 근데 나는 이렇게 계산하는게 더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서 1억이란 주담대 금액을 포함해 계산한것. 금액을 조정하면서 계산해 보면 최대 한도를 대략 알수 있다.
DTI는 총 대출금액과 그 이자까지 합한 금액을 연소득으로 나눈...
아무튼 이것도 대출상환능력을 보겠다는 거다.
같은 조건으로 DTI를 계산해 보면 20.04%가 나온다.
DTI는 연소득대비 갚아야 할 금액의 비율이므로 낮을수록 상환능력이 높은것으로 본다.
그다음으로 볼것은 LTV
주택담보인정비율이다.
사려고 하는 주택이 위치한 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이 50%이고, 1억짜리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린다면 빌릴수 있는 최대금액은 5000만원(1억×0.5)이다. 그러니 내돈 5천만원이 있어야 5천을 대출받아 1억짜리 집을 살수 있는 것.
또한 감정가(시세)에 따라 또 달라진다.
LTV비율이 낮으면 그만큼 내돈이 많이 들어간다. LTV를 알아야 부족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지 계획을 세울수가 있는 것이다.
그래도 생애최초주택구입의 경우는 더 높은 비율을 인정해 준다.
주택도시기금페이지에서 2억 한도가 나왔더래도 참고만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있는 것이다.
각 지역에 따른 규제율은 맨날 바뀌므로 ㅎㅎㅎ 그때그때 확인하여야 하겠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하반기 서울주택도시공사 일반 매입임대주택 입주대기자 모집공고, 신청자격, 신청방법 및 일정 (0) | 2023.09.01 |
---|---|
2023년 상반기 일반 매입임대주택(다가구,원룸) 입주대기자 모집공고(2023.02.24.공고) (0) | 2023.02.27 |
내집찾기-월세,전세집 체크, 부동산 발품만이 답일까? (0) | 2023.01.19 |
빌라시세 사무실 전세집 월세집 매물 주변시세 파악하는 법 (0) | 2023.01.05 |
전세집 세움터에서건축물대장으로 위반건축물 여부 알아보기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