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살 집을 찾아보자
자금에 대한 계획을 세웠다면 이제 집을 알아봐야 하겠지.
부동산 시장에 나온 물건을 찾으려면?
1. 부동산을 직접 간다.
2. 인터넷부동산에서 검색 후 방문
3. 부동산 어플 검색
4. 부동산 카페 검색
등등의 다 아는 방법이 있다.
1. 부동산에 직접 방문 해 예산과 원하는 집의 컨디션등을 이야기 해 놓고 연락처를 남겨 둔다.
부동산 중개업자들도 조건에 맞는 집을 찾아야 하므로 보통은 나중에 연락을 준다고 한다.
될수 있는 한 많이 찾아서 하루에 몰아서 볼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하자.
2. 인터넷 부동산, 예를 들면 네x버부동산에서 원하는 조건으로 수시로 검색해 본다.
세부 조건을 설정할수 있고 확인 날자도 나오니 제일 신뢰성이 있다.
요즘은 다들 인터넷으로 많이 검색 하기 때문에 중개업자들도 집이 나오면 이곳에 올려놓는 경우가 많다.
위치에 사진까지 다 올려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집에서 편하게 둘러볼수 있다.
마음에 드는 집이 있다면 해당 부동산에 연락하여 문의 후, 마찬가지로 비슷한 컨디션의 집을 다 찾아 달라고 하고 하루에 몰아 볼수 있도록 약속을 잡는다.
예전에는 괜찮은 집 올려 두고 전화하면 '아 그건 나갔고 다른집 있어요~' 이러는 경우가 많았는데
허위매물신고가 가능하다보니 요즘은 그런건 거의 없다고 본다.
3. 부동산 어플은 뭐 다들 아는 다x, 직x 뭐 이런것들인데, 여러 방법 중에 제일 별로인 방법이지 싶다.
여기 올라온 집들은 대부분 네x버부동산에 올라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위에서 말한 '그집은 나갔고~'의 경우가 아직도 많은 곳이 이런 어플들이다. 진짜 화난다. ㅎ
4. 부동산 카페는 워낙 유명한 피x팬 카페가 대표적이다.
가입을 하고 승인이 되어야 글을 볼수 있으므로 미리 가입해 두는 것을 추천..
여기는 부동산의 직거래 카페라고 보면 되는데, 현 세입자 또는 집주인등이 직접 글을 올리는 곳이다.
직거래라고 해서 둘이 만나 부동산 서류를 작성 한다기보다는 보통은 부동산에 가서 소정의 대필료만을 지불하고 서류를 작성한다.
나는 이 모든 방법들을 여태까지 다 써봤는데...
경험상 2번과 1번의 콜라보..가 제일 효율적이다.
그리고 스피드...
저렴하면서 깨끗하고 좋은 컨디션의 집이 나왔다고 하면 쏜살같이 달려가야 하는 경우가 많다.
주말에 볼수 있나요..이런거 안통한다. 일단 쏴야 한다.
그래서 미리 사진으로 컨디션을 볼수 있는 2번을 선호 하는 편이다.
자 그렇다면.
이런 방법으로 보러 갈 집 또는 보러 가고 싶은 집이 정해졌다고 하자.
가기 전에 무엇을 해야 할까
글이 너무 길어질것 같아 나누었으니 아래 링크에서 각각의 내용을 보시면 된다.
-위반 건축물이 있는가
전세집 세움터에서건축물대장으로 위반건축물 여부 알아보기
전세집 세움터에서건축물대장으로 위반건축물 여부 알아보기
위반건축물이란 말그대로 건축법에 위반하는 건축물로, 쉽게 말하면 애초에 지어진 형태에 허가를 받지 않고 확장등을 하여 위반건축물로 등재 하는 것을 말한다. 위반건축물로 등재 되면 소유
plenties.tistory.com
-적정한 가격인가: 시세 파악 하기
빌라시세 사무실 전세집 월세집 매물 주변시세 파악하는 법
빌라시세 사무실 전세집 월세집 매물 주변시세 파악하는 법
아파트는 시세 파악이 쉽지만 빌라는 그렇지가 못하다. 이 경우 부동산의 말에 의지 할수밖에 없는데 부동산에서는 항상 '급매물'로 '싸게' 나왔다고 한다. 진짜 그러한지 시세를 파악 할수 있는
plenties.tistory.com
-위치는 적절한가: 부동산에서 말하는 도보 5분은 뛰어서 5분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실측 전에 미리 알아보자.
위치파악을 하려면 내가 직접 가보는 방법도 있겠지만 그것보다 먼저 집에서 확인 해보기.
1. 집 주소를 먼저 알아내야 한다.
매물 주소를 올려두는 곳이 대부분이지만 위치 공개를 안해두는 곳도 있다.
이경우 해당 부동산에 전화하여 위치좀 보려 한다고 하면 대부분 알려준다.
타부동산에서 매물조사 하는 걸로 오해해 안알려줄수도 있는데 그러면 대충 번지대만 알려달라고 하면 대부분 그정도는 알려주는 편.
2. 알아낸 주소를 네이버 지도에 찍어보고 역부터 도보 거리등을 파악한다.
3. 로드뷰로 주변 환경 파악 및 역까지 도보로 가는 거리 상태 등도 파악 할수 있다.
이렇게 위치파악까지 끝났다면 그때야 말로 부동산에 방문해 매물을 확인한다.
맘에 안들어도 포기하지 말아요
보러 간 집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그냥 바로 돌아오지 말고 부동산에 더 찾아달라고 부탁 하거나 그 주변 부동산들도 다 둘러 원하는 매물 조건과 전화번호를 꼭 남기도록 하자.
집은 많이 봐야 한다.
볼수록 집 보는 눈이 생긴다.
그러니 조건이 조금 안맞더라도 다 둘러보는 것이 좋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상반기 일반 매입임대주택(다가구,원룸) 입주대기자 모집공고(2023.02.24.공고) (0) | 2023.02.27 |
---|---|
주택구입자금대출, 주택담보대출을 위해 내가 보려고 정리해보는 DSR, DTI, LTV (0) | 2023.01.19 |
빌라시세 사무실 전세집 월세집 매물 주변시세 파악하는 법 (0) | 2023.01.05 |
전세집 세움터에서건축물대장으로 위반건축물 여부 알아보기 (0) | 2023.01.04 |
전세자금대출 받기, 은행과 주택도시기금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