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자금대출을 받기 위한 은행과 도시주택기금의 대출정책을 알아 보자.
은행마다 여러 대출 상품이 있겠지만 일반 대출상품 말고 저금리로 받을수 있는 것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최근 여러가지 사건들을 겪으면서 주거안정에 대한 필요성을 체감 했달까.
사실 여태까지는 집을 산다는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두지 않았는데(언제든 어디든 정리하고 나갈수 있는 삶이 좋았기때문)
일련의 사건들을 겪으면서 내가 참말로 철이 없었구나...를 또한번 느껴 버렸다.
그리하여 매매도 생각하게 되고, 매매, 전세 최후의 선택으로는 월세까지도 알아보기로 하면서
부동산 투자자의 일을 하고 있는 친구의 도움도 받고,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면서 알게된 것들을 공유해 보고자 한다.
나의 가용 예산은 얼마인가
먼저 매매든, 전세든, 월세든 내가 동원 할수 있는 예산을 파악 해야 한다.
물론 은 이상의 수저를 물고 태어나서 부모님 지원이 된다면 예산 걱정 할 필요 없겠지만
이 글은 그런 수저들 말고, 나같은 엠생들을 위한 것이므로...
자..눈물 닦고 어떻게 예산 확보를 할지 생각해 보도록 하자.
가용현금+대출
내 예산을 정하는 과정에서 대출을 받을것인지, 받는다면 얼마나 받을것인지
한달에 감당할수 있는 이자는 얼마인지
은행과 국가 기관등등 나에게 가장 유리한 대출은 어떤것인지..
국가에서 제공하는 여러 혜택들이 있다면 잘 챙겨 보자.
대출 받을 필요가 없을정도의 현금이 있으시다면....부럽네요. ㅠ
대표적인 보증금대출은
-주택도시기금의 버팀목(보증금), 디딤돌(매매) 대출
-중기청(주택도시기금)의 전월세 보증금 대출
-또는 카카오뱅크 등의 전월세자금대출
-1금융권의 일반 은행신용전세대출
등등이 있다.
금리는 주택도시기금이 제일 낮고 카카오나 K뱅크등, 일반은행 순으로 올라간다.
요즘엔 검색창에 전세자금대출이자를 검색하면 한눈에 은행별로 나온다.
청년이나 신혼부부등의 혜택을 누릴수 있는 자격이 된다면 꼭 가장 유리한 조건을 찾아 알아 보시길..
청년도 아니고 신혼부부도 아니면....ㅠㅠ
본인 신용이 좋고 직장인이라면 연봉, 사업자라면 소득신고내역으로 대략적인 한도를 알수 있다.
카카오뱅크나 K뱅크의 전세자금대출의 경우 기존에 살고 있는 집이 전세자금대출이 있으면 신청이 불가능하다.
또 버팀목대출같은 경우 전년도 소득증빙자료가 반드시 있어야 최대 한도로 받을수 있다.
소득증빙이 안되더라도, 또는 소득이 너무 낮게 잡혀 있더라도 버팀목 대출을 받을수는 있으나 한도가 3300만원에 불과하다.
그러니 내가 앞으로 보증금대출을 받을 계획이 있다면, 원하는 한도가 나올수 있도록 미리 조건을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이야기...
금리가 많이 올라서 일반 은행의 전세대출은 너무 부담되는 요즘이니
주택도시기금의 대출을 받을수 있는 조건이 된다면 꼭 이용하자.
조건은 상황마다 다르므로 반드시 은행가서 문의.
대략적인 한도는 집 계약 후 또는 계약하려는 집의 등기부 등본을 들고 은행에 가서 가심사를 넣어봐야 알수가 있다.
대출 안받아도 보증보험은 들수 있어요
보증금 대출을 받지 않더라도 전월세 보증금 보증보험은 들수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 HUG의 안심대출보증 같은거다.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 주지 않아도 보증보험을 들어 두면 시간이 오래오래 걸리긴 하지만
결국은 보증기관을 통해 돌려 받을수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또는 주택금융공사에도 보증보험상품이 있다.
은행을 통하여 신청하면 되고 보증료는 주택금융공사가 더 저렴하다.
은행에 문의 해 반드시 들어 둘것.
버팀목 대출은 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는 대출이고 신청은 지정은행을 통해 한다. ->금리가 저렴
주택금융공사는 전세자금대출을 신청하는 곳이 아니다.
은행마다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전세자금대출이 있다. ->금리가 비쌈
이 차이를 알아두고 상담을 하는 것이 좋겠다.
월세를 살것인가 전세를 살것인가
금리가 지금처럼 치솟지 않았을때야 전세자금대출을 왕창 받아도 비싼 월세보다 이자가 저렴하거나 비슷했으므로 월세보다는 전세를 선호했었다. 하지만 요즘같이 고금리시대에서 국가보증의 저렴한 고정금리대출을 받을수 있는 조건이 안된다면 적당한 선에서 월세를 찾는것도 나쁘지 않다.
요즘 대출이자가 비싸서 전세가 월세로 많이 전환되기도 하니 말이다.
모든것은 돈, 또 돈이 문제이므로 가용예산을 최대한 저렴히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걸 누가 모르냐구?
모르는 사람 많드라구...나두 금리 낮을때는 몰랐다우..ㅠㅠ
부동산에서 연결해 주는 대출상담사에게 그냥 은행 전세자금대출을 받았었다우..그래두 이자가 얼마 안했기때문에..
버팀목대출같은 경우 연 2%대의 저렴한 이자로 대출을 받을수 있다는 점 명심하자.
자금에 대한 계획이 섰다면 이제 집을 찾는 방법과 실제 시세 파악하는 법등을 다음 포스팅에서 알아 보자.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라시세 사무실 전세집 월세집 매물 주변시세 파악하는 법 (0) | 2023.01.05 |
---|---|
전세집 세움터에서건축물대장으로 위반건축물 여부 알아보기 (0) | 2023.01.04 |
전세금 반환 그 마지막...임차권등기소요비용청구 등등 (0) | 2022.12.28 |
전세보증금반환, 임차권등기명령 전자소송으로 신청하기, 보증사고 이행신청 (0) | 2022.12.26 |
임대차보증금 전세보증금 내용증명과 의사표시공시송달 (0) | 2022.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