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이나 상가 매매를 할때시세를 먼저 파악해야 하는데 부동산에서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 아파트는 KB아파트 시세나 네이버 부동산 등에서 시세 파악이 쉽지만 빌라는 그렇지가 못하다. 이런 경우 주변 시세를 참고해 대상 매물의 시세를 유추 해 볼수가 있다. 빌라 시세를 파악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자.
먼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주변 시세는 물론 해당목적물 시세도 알수 있다.
빌라 시세를 알아볼 것이므로 상단의 연립/다세대 메뉴로 들어간다.
로그인 할 필요도 없다. 모두에게 공개된 시스템.
원하는 매물의 위치로 지도를 옮긴다.
여기서는 강남 아무곳이나 한번 보도록 하자.
건물명 옆 상세보기를 클릭
매매는 물론 전월세 계약내용까지 다 볼수 있다.
단, 층까지만 나오고 호수는 나오지 않는다.
한층에 여러집이라면??
원하는 매물의 호수를 건축물 대장에서 어느정도 추리 해 볼수가 있는데
세움터 에서 건축물 대장 열람하는 방법을 참고하여 내가 알아볼 호수의 면적을 알아낸 후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서 일치하는 면적의 내용을 찾으면 된다.
같은 층에 같은 면적이라면 내가 목적하는 호수는 정확히 알수 없겠지만 이런 경우 여러 호수끼리 시세비교도 가능하다.
리스트에 아무 내용이 안나오는 경우도 있다.
그럴땐 년도를 달리 해서 찾아보면 이전 계약내용이 나오므로 참고 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물건지의 시세와 주변 시세까지 모두 알아볼수 있다.
이방법은 사실 전월세보다는 매매시 유용한 방법이다.
전월세라 할지라도 부동산에서 "싸게" 나왔다고 "빨리" 계약 하라고 하면, "지금 계시는 분도 같은 가격에 있던데요?" 혹은 "이 주변 시세가 이렇던데요?" 라고 말해보자. ㅎ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구입자금대출, 주택담보대출을 위해 내가 보려고 정리해보는 DSR, DTI, LTV (0) | 2023.01.19 |
---|---|
내집찾기-월세,전세집 체크, 부동산 발품만이 답일까? (0) | 2023.01.19 |
전세집 세움터에서건축물대장으로 위반건축물 여부 알아보기 (0) | 2023.01.04 |
전세자금대출 받기, 은행과 주택도시기금 (0) | 2023.01.04 |
전세금 반환 그 마지막...임차권등기소요비용청구 등등 (0) | 2022.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