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신청 할 때 알아야 하는 청약 가점 계산하는 방법과 무주택 기간 계산하는 법, 서울시 거주기간 산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약 시 본인의 가점 상황을 알아두는 것이 전략을 짜는 데 유리 합니다.
청약가점계산기
민간분양의 청약 가점은 '청약홈'에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가실 수 있습니다.
https://www.applyhome.co.kr/ap/apg/selectAddpntCalculatorView.do
https://www.applyhome.co.kr/ap/apg/selectAddpntCalculatorView.do
www.applyhome.co.kr
공고단지 청약연습의 청약가점계산기를 클릭하세요.
무주택기간 계산
무주택 기간은 만 30세 기준으로 이후 무주택 기간을 계산하여 적으면 되는데요, 만 30세 이후로 쭉 무주택이었다면 본인 만 나이에서 -30을 빼면 됩니다.
또는 상세 보기를 눌러 무주택기간 계산기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맨 아래 무주택기간 등 계산하기를 누릅니다.
해당 사항을 모두 입력 후 계산 하기를 누르면 본인의 만 나이와 무주택 기간이 계산되어 나옵니다.
계산된 내용을 무주택 기간 선택메뉴에서 선택하여 줍니다.
배우자 유무와 부양가족 등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본인의 청약통장 가입일과 생년월일을 입력해 주세요.
그리고 가점계산하기를 누르면 본인의 가점을 알 수 있습니다.
국민임대주택의 가점 계산
임대주택의 가점은 분양주택의 가점계산과 다릅니다.
해당 국민임대공고문의 배점표를 보고 계산하여야 합니다.
공고문을 잘 살펴 보면 아래와 같은 가점기준표가 있으므로 참고 하여 계산 하시면 됩니다.
서울시 거주기간 계산법
서울시 거주기간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서울시 거주기간은 만 19세를 기준으로, 이후 서울시 거주 기간을 적으면 됩니다.
서울에서 태어나 쭉 서울에서 거주한 사람의 서울시 거주기간은 출생연도에 +19을 더해 나온 숫자를 연도에 적고 월, 일은 본인의 생일을 적으면 됩니다.
서울시 거주기간은 전입신고 기준이므로 19세 이후로 타 지역에서 서울시로 전입하였다면 전입한 날짜 이후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재개발임대주택 입주자 모집공고 서류심사 커트라인 (0) | 2023.11.01 |
---|---|
2023년 재개발임대주택 청약접수 경쟁률, 서류심사결과조회일 (1) | 2023.10.20 |
2023년 재개발임대주택 입주자 모집공고(2023.9.22.공고) (0) | 2023.10.04 |
2023년 하반기 서울주택도시공사 일반 매입임대주택 입주대기자 모집공고, 신청자격, 신청방법 및 일정 (0) | 2023.09.01 |
2023년 상반기 일반 매입임대주택(다가구,원룸) 입주대기자 모집공고(2023.02.24.공고) (0) | 2023.02.27 |
댓글